Mental Model

메타인지를 높이는 방법

Kaden Sungbin Cho 2021. 5. 22. 08:51
반응형

메타인지(Metacognition)는 자신의 사고 프로세스에 대한 인식과 그러한 사고 프로세스 저변의 패턴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meta란는 단어는 "beyond" 또는 "on top of"를 의미합니다. 메타인지는 스스로의 사고 방식을 숙고하거나, 문제해결을 위해 어떤 전략을 어떻게 언제 쓸지 등 여러 형태를 가집니다. 일반적으로는 지식(metacognitive knowledge), 조절(metacogintive regulation), 경험(metacognitive experiences)이라는 3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 지식: 각 개인이 인식을 행하는 주체로 스스로에 대해 그리고 다른 것에 대해 어떤 것을 알고 있는 것
  • 조절: 인식의 통제와 배움을 돕는 활동을 통한 (메타인지 통제에 대한) 학습
  • 경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한 인식 조절의 경험

 

그렇기에 메타인지는 주로 무언가를 배우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사고 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컨트롤을 다루는 영역을 말합니다. 단계적으로는 배우려는 바에 대한 계획과 '이해'를 모니터링하고 제대로 배웠는지 진척을 평가하는 활동이 포함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일상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부분에 중점을 두어, 어떻게 메타인지를 높일 수 있는지 기술해 보겠습니다. 

 

  • 메타인지가 높다는 것은?
  • 메타인지의 기반인 성장형 마인드셋
  • 문제의 정의, 로직트리
  • Data-Driven

 

 

 

 

 

 

Reference

[1] https://en.wikipedia.org/wiki/Metacognition

[2] Teach Students How to Learn: Strategies You Can Incorporate Into Any Course to Improve Student Metacognition, Study Skills, and Motivation

[3] https://www.edutopia.org/blog/8-pathways-metacognition-in-classroom-marilyn-price-mitchell

 

 

 

 

반응형